A Dance of Fire and Ice (r86)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파일:나무위키.svg파일:나무위키다크.svg
이 문서에는 나무위키의 A Dance of Fire and Ice 문서의 r2143 판에서 가져온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전 역사)

파일:adofai_header.jpg
A Dance of
Fire
and
Ice
정식 명칭
A Dance of Fire and Ice
불과 얼음의 춤 (한글)
약칭
ADOFAI
얼불춤[1] (한글)
개발사
장르
리듬 게임
출시일
2014년 10월 4일 (데모)
2019년 1월 25일 (정식)
2024년 가을 (닌텐도 스위치)
엔진
Unity
가격
6,500원 (스팀)
링크
구매
그 외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역사
3.1. 초기3.2. 정식 출시3.3. 에디터의 추가
4. 게임 플레이 방법
4.1. 조작법4.2. 판정
4.2.1. 절대 정확도4.2.2. 실패 방지 모드
4.3. 설정4.4. 보정
5. 공식 컨텐츠
5.1. 세계
5.1.1. 배속 도전
5.2. 도전과제5.3. 레벨 에디터5.4. DLC
5.4.1. OST
5.4.1.1. 공식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지 않은 곡
5.4.2. Neo Cosmos5.4.3. EXiverse
5.5. 추천 레벨
6. 업데이트 내역7. 비밀 코드8. 모바일 버전9. 커뮤니티 콘텐츠
9.1. 커스텀 레벨
9.1.1. 레벨 팩9.1.2. Steam 창작마당
9.2. 비공식 포럼
9.2.1. 포럼 목록
9.3. 모드
10. 이벤트11. 관련 인물
11.1. 레벨 제작자
11.1.1. 레벨 제작팀
11.2. 플레이어11.3. 작곡가
12. 커뮤니티
12.1. 커뮤니티 목록
13. 용어
13.1. 은어
14. 평가15. 문제점 및 사건 사고16. 여담17. 관련 문서18. 참고한 문서

1. 개요[편집]

A Dance of Fire and Ice(한국명 '불과 얼음의 춤')은 7th Beat Games에서 만든 리듬 게임이다.

2. 시스템 요구 사항[편집]

3. 역사[편집]

3.1. 초기[편집]

A Dance of Fire and Ice는 7th Beat Games의 개발자 fizzd가 2014년 8월에 개최된 게임 개발 대회 Ludum Dare 30회에 제출한 게임이다. 당시 주제는 Connected Worlds였다.

이후 2014년 10월까지 0.3.1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면서 총 3개의 세계[3]와 보정기능이 추가된 채 개발이 마무리되어 데모 버전으로 itch.io에 공개되었다.

3.2. 정식 출시[편집]

2019년 1월 25일, 게임의 완성본이 Steam과 itch.io에 공개되었다. 작곡가 Jade Kim과 합작하여 4개의 세계가 추가[4]되었으며, 일부 스테이지의 밸런스 조절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퀄라이저 배경만 있었던 데모에 비해 Kyle Labriola의 아트워크가 추가되며 게임의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일신되었다.

3.3. 에디터의 추가[편집]

정식 출시된 최초의 버전에는 공식 레벨만이 게임의 전부였으나, 유저 Morphious86이 개발한 비공식 레벨 에디터가 커뮤니티에서 사용되었다. 이에 7th Beat Games 측에서 Morphious86을 영입하여 게임 내에 정식으로 레벨 에디터를 추가하게 된다.

4. 게임 플레이 방법[편집]

4.1. 조작법[편집]

게임에 들어가면 로비에서 불 행성과 얼음 행성이 공전하는 것이 보인다. 이 중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타일에 도달할 때 박자에 맞춰 아무 키[5]를 누르면 공전하던 행성은 그 타일에 착지하고, 다른 행성이 공전하기 시작한다. 이런 방식으로 박자에 맞춰 타일을 이동할 수 있다.
정확히는 행성이 타일에 조금이라도 들어갔을 때 키를 누르면 그 타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로비에서는 어느 타일에도 걸치지 않았을 때 키를 누르면 제자리에 가만히 있지만 인게임 플레이 중에는 '너무 빠름'이나 '너무 느림' 판정을 띄운다. 판정에 대해서는 아래 문단을 참조. 행성과 타일이 더 정확하게 닿아있는 상태에서 키를 눌러야 더 좋은 판정이 나온다.

4.2. 판정[편집]

정확 Perfect!
느림 LPerfect!
빠름 EPerfect!
느림! Late!
빠름! Early!
너무 느림!! Late!!
너무 빠름!! Early!!
다중 입력 Multipress!!
놓침... Miss...
과부하... Overload...
각 판정 설명과 브픔에 따른 계산 공식

정확도 합산 방법

4.2.1. 절대 정확도[편집]

모든 타일을 정확! 판정으로 처리했을때의 정확도를 100%로 놓고 계산한 정확도

계산 공식

4.2.2. 실패 방지 모드[편집]

흔히 무적 모드라고 불리는 모드이며 창작마당에선 N키를 눌러서, 레벨 에디터에선 오토 왼쪽에 있는 흰 갑옷을 눌러 활성화 할 수 있다.
이 모드를 사용하면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이 모드를 사용해서 레벨을 클리어해도 절대 인정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6]

4.3. 설정[편집]

설정 들어가면 보이는 것들을 항목별로 나눠서 설명

4.4. 보정[편집]

보정 하는 방법과 팁, tmi를 작성

5. 공식 컨텐츠[편집]

5.1. 세계[편집]


공식 레벨은 세계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세트1, 세트2, 엑스트라 섬, 왕관 섬, 별 섬에 레벨들이 위치하고 있다.
각 분류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세트1: 1번째 세계~6번째 세계, B번째 세계가 포함되며 게임에 처음 입문한 사람들이 가장 처음 접하는 레벨들이 있다. 그만큼 전체적인 난이도도 공식 레벨 중에서 제일 쉬운 편이다.[7]
* 세트2: 7번째 세계~12번째 세계가 포함되며 세트1보다 조금 더 어려운 박자와 빠른 BPM의 레벨들이 있다. 좁은 의미에서의 '공식 레벨'은 여기까지 13개의 레벨들만 포함한다.
* 엑스트라 섬: XF번째 세계~XS번째 세계까지 총 9개의 레벨이 포함되며 세트1과 세트2보다 이펙트도 강해지고 새로운 박자도 많이 등장하여 어려운 레벨들이 있다. 그래도 이전 레벨들을 잘 클리어해온 사람에게는 큰 변수 없이 모두 클리어할 수 있을 것이다.
* 왕관 섬: 이 게임의 보스 스테이지에 해당하는 레벨들인 XO번째 세계, XT번째 세계, XI번째 세계가 포함된다. 지금까지 플레이한 세계들보다 훨씬 어려운 난이도의 레벨들이며, 세트1의 B번째 세계를 클리어할 시 해금된다[8]. 전체적으로 빠른 BPM과 난해한 박자로 높은 난이도를 만든다. 특히 중앙의 XI번째 세계는 현존 공식 레벨들 중 가장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니 게임에 충분히 숙달된 후 도전하는 것을 추천한다.
* 별 섬: 리듬게임 Muse Dash와의 컬래버레이션으로 수록된 MN번째 세계, ML번째 세계, MO번째 세계가 포함된다. MN번째 세계는 세트2까지만 플레이하고 와도 클리어할 정도로 쉽지만, ML번째 세계와 MO번째 세계는 공식 레벨들 중에서 어려운 축에 속하니 주의해야 한다. 특히 MO번째 세계는 위 왕관 섬 레벨들과 맞먹는 난이도를 가졌으므로 충분히 게임에 숙달된 후 도전하는 것을 추천한다.

5.1.1. 배속 도전[편집]

어떤 레벨을 클리어하면 그 레벨의 배속 도전이 가능해진다.
배속 도전이란, 배속한 만큼 레벨의 전체적인 BPM이 조정되고 체크포인트가 비활성화되는 도전 모드이다.
최소 0.5배속부터 설정 가능하며, 상한치는 2128배속이다.

공식 레벨은 모두 '목표 배속'이 존재하는데, 보통 1.2배속~1.5배속 중에서 레벨 난이도에 따라 조정하여 주어진다. 다만 XT, XI번째 세계처럼 어려운 레벨은 0.9배속으로 기존 레벨보다 더 느리게 설정되는데 이것은 레벨이 너무 어려워 그냥 체크포인트만 사용하지 말고 클리어하라는 의미가 강하다.

배속 도전은 커스텀 레벨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레벨 에디터에서 자체적으로 배속을 설정하여 플레이할 수도 있고 왼쪽 에디터 설정 창에서 배속을 조정할 수도 있다. Steam 창작마당에서도 배속 설정이 가능하다.

공식 레벨의 배속 도전 정보는 다음과 같다.

5.2. 도전과제[편집]

스팀 도전과제 표 만들어서 나열

5.3. 레벨 에디터[편집]

유저가 직접 레벨을 만들 수 있는 커스텀 레벨 에디터가 있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5.4. DLC[편집]

5.4.1. OST[편집]

5.4.1.1. 공식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지 않은 곡[편집]

5.4.2. Neo Cosmos[편집]

5.4.2.1. Neo Cosmos OST[편집]

5.4.3. EXiverse[편집]

7th Beat Games와 유명 레벨 제작팀 Team Vega가 협업하여 제작하는 공식 레벨 리믹스 DLC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5.5. 추천 레벨[편집]



[ 클래식 / Classic ]





[ 테크 / Tech ]


유저들이 제작한 커스텀 레벨은 큐레이터가 선정하여 추천 레벨로 등재될 수 있다.
추천 레벨에 등재되는 것은 공식적으로 게임에 수록되는 것이며, 추후에 닌텐도 버전과 모바일 버전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6. 업데이트 내역[편집]

7. 비밀 코드[편집]

8. 모바일 버전[편집]

9. 커뮤니티 콘텐츠[편집]

9.1. 커스텀 레벨[편집]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9.1.1. 레벨 팩[편집]

9.1.2. Steam 창작마당[편집]

9.2. 비공식 포럼[편집]

9.2.1. 포럼 목록[편집]

  • ADOFAI New Forum 시트 파일:Discord.png
    • 얼불춤에 추가 예정인 '10키 제한'을 기반으로 이린이 제작한 포럼. 그러나 10키 제한 기능의 출시가 생각보다 지연되어 잊혀졌다.

9.3. 모드[편집]

UnityModManager를 통해 설치할 수 있는 모드에 대한 문서.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10. 이벤트[편집]

10.1. Level Of The Year[편집]

10.2. 대회[편집]

11. 관련 인물[편집]

11.1. 레벨 제작자[편집]

11.1.1. 레벨 제작팀[편집]

11.2. 플레이어[편집]

11.3. 작곡가[편집]

12. 커뮤니티[편집]

12.1. 커뮤니티 목록[편집]

13. 용어[편집]

13.1. 은어[편집]

14. 평가[편집]

15. 문제점 및 사건 사고[편집]

15.1. 커뮤니티 내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6. 여담[편집]

* 공식맵에서 95%이상 도달하면 과부하 판정으로 실패처리 되지 않는다. 따라서 95%까지 도달하고 16키 연타를 갈겨도 실패처리 되지 않으며, 그대로 레벨을 클리어 할 수 있다. 그러나 정확도가 주식마냥 떡락하여 마냥 보기 좋지만은 않다.

17. 관련 문서[편집]

18. 참고한 문서[편집]

[1] 초창기엔 공식 명칭 순서에 따라 불얼춤이라 불렸으나 어감이 좀 그렇다는 이유로 얼불춤이 되었다.[2] 여기서 구매할 시 스팀 창작마당 컨텐츠가 비활성화 된다. 대신 구매하지 않고도 해당 페이지에서 데모 버전을 플레이할 수 있다.[3] 1번째 세계, 2번째 세계, 3번째 세계[4] 4번째 세계, 5번째 세계, 6번째 세계, B번째 세계[5] Alt 등 특수한 키 몇몇은 인식하지 못한다.[6] 그러나, 이 모드를 켰음에도 불구하고 놓침이나 과부하가 없다면 클리어로 인정해준다. 내가 이걸 왜 켰지 하고 의문이 드는 순간[7] B번째 세계는 제외. 세트1만 플레이한 초심자가 클리어하기엔 어려운 레벨이다. [8] B번째 세계 클리어 이전에도 특정 코드를 입력하면 입장 가능하나 B번째 세계를 먼저 플레이하고 오기를 추천한다.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